[이 아침에] 꽃을 닮았던 아이들
3월이 되면 한국의 학교 운동장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신입생의 입학식이 열린다. 가슴에 이름표를 달고 새 가방을 메고 신주머니와 실내화를 가지고 오던 시절이다. 꽃피는 3월이라지만 꽃샘 추위가 몸과 마음을 얼어붙게 한다. 74년도에 초임 발령을 받은 학교가 옥수동 산동네에 자리 잡은 옥정 초등학교였다. 한 교실에 70명 가까운 어린이들이 공부했다. 선풍기도 없었다. 더위를 식혀주는 것은 젖혀진 창문에서 들어오는 바람뿐이어서 여름에는 시큼한 땀내가 코에 뱄다. 어느 해 교장은 내가 원하지도 않은 1학년을 맡겼다. 꼬마들의 담임으로서 운동장 구령대에 올라가서 율동을 해야 했다. 묵묵히 주어진 일을 처리하는 성격으로 남 앞에 나서는 것을 싫어했던 나였기에 부담감이 컸다. 아이들만 있다면 서슴없이 율동을 할 용기는 있는데 나의 행동을 일일이 지켜보는 학부모 앞에 서는 것은 피하고 싶었다. 지금도 그때를 생각하면 얼굴이 달아오른다. 구령대에 올라가는 시간이었다. 흰 체육복으로 산뜻하게 갈아입고 구령대에 올랐다. 마이크를 잡는 순간 운동장에 옹기종기 모여 있는 학부모들은 그저 말 없는 인형에 지나지 않다는 생각을 하기로 했다. 오직 어린이들을 바라보며 '씨앗', '아침 해', '학교 종', '태극기', '꽃밭에서' 등을 율동으로 꾸며 지도했다. ‘씨 씨 씨를 뿌리고, 꼭 꼭 물을 주었죠, 하룻밤 이틀 밤 쉿쉿쉬 뽀드득 뽀드득 뽀드득 싹이 났어요.’ 손을 모아 둥그런 아침 해를 만들고, 주먹 쥐고 자리에서 일어나는 모습, 윗니와 아랫니를 닦고 깨끗이 세수하고 단정히 머리 빗고 옷 입고 거울 보는 모습, 밥을 꼭꼭 씹어 먹고 가방 메고 학교에 가는 모습을 율동으로 표현했다. 입학생들이 행동으로 실천하여 학교생활에 적응하도록 했다. 율동이 끝나면 각 반별로 학교 교실 둘러보기, 화장실 사용법 알기, 교통안전 등 기본 학교생활에 초점을 맞추어 지도했다. 처음에는 쑥스러워하던 아이들이 학교에 익숙해질 즈음엔 어느덧 봄이 성큼 다가와 학교 내 정원과 학교 주변의 산에서 꽃들은 꽃망울을 터뜨린다. 교실에서도 아이들의 함성과 순박한 웃음이 피어난다. 밝게 미소 짓는 진달래꽃, 향기를 뿜어내는 매화꽃, 춤추는 벚꽃, 수줍은 살구꽃, 주위를 밝히는 노란 개나리꽃처럼 아이들은 저마다 특유의 색깔로 꽃봉오리를 피우며 환하게 웃는다. 이런 꽃들이 우리 반의 외향적인 아이, 산만하고 집중력이 없는 아이, 얌전한 아이, 호기심이 많고 도전정신이 강한 아이 등 개개인의 모습과 많이 닮았다. 지금은 쉰이 훌쩍 넘었을 그 시절의 아이들 모습이 내 앞에 내려앉는다. 아이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노래와 율동으로 무진 애를 썼던 시절이다. 그때가 정원에서 막 꽃망울을 터뜨리고 있는 살구나무와 복숭아나무 속에서 피어난다. 지나간 내 젊은 날의 3월이 떠오른다. 이현인 / 수필가이 아침에 기본 학교생활 학교 운동장 초등학교 1학년